
각종 복지혜택을 받을 때 기준 중위소득을 가지고 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위소득은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해야하는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을 활용하기 위해 활용하는 국민 소득의 평균값을 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으로 급여종류별 선정 기준, 생계급여 지급액,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 학자금대출 등 다양한 복지혜택의 기준이 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7인가구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예를 들어, 1인가구에 재산(주택, 자동차 등) 없이 근로소득만 2..

서울시에서는 미취업 혹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활동지원금(월 50만원 최대 6개월)을 지급하고 경제상담이나 취업역량강화교육 등 청년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취업을 준비중이신 분들은 꼭 신청해서 혜택 받으세요! 목차 1. 서울청년수당 지원대상 2. 서울청년수당 신청방법 3. 서울청년수당 지원내용 1. 서울청년수당 지원대상 -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고교,대학(원) 졸업자 중 미취업 상태 혹은 단기근로 중인 청년 - 연령요건: 만 19~34세 (1988년 6월 1일 ~ 2004년 6월 30일인 자) - 소득요건: 중위소득 150%이하 - 기타요건: 주 30시간 혹은 3개월 이하의 단기근로자는 확인이 가능한 별도의 증빙자료 (근로계약서,퇴..